세계민족무용연구소

all Menu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

Ⅰ. 연구개요

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무용의 원류 탐구를 위한 동아시아 원전자료를 집성하고 DB를 구축하여 무용학 연구의 인문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 한국 전통 무용의 보다 확장된 연구를 위해서는 동아시아 삼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관련 기초자료의 수집 정리 작업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무용의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기 위해, 궁중 정재에 관한 주요 문헌들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무용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 추출, 정리하고 중요자료를 번역하여 DB화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무용학이라는 기초 학문의 과제로 수행되는 것이고, 또 한국 무용사의 담론을 정립하기 위한 과제의 일부분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앞으로 동아시아 문화 벨트의 복원 시도라는 단기적인 포석과 각국 문화의 교류 활성화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장기적인 목표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국학의 한 분야를 튼실하게 뒷받침할 것이며, 우리 문화의 올바른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연구단계별 수행 주제


◌ 무용학의 인문학적 토대 구축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 전통 무용의 원류 탐구에 있어 중요한 56개 궁중 정재(呈才) 종목이다. 아래의 [도표-1]은 정재 연구의 기본 문헌이라 할 수 있는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 『악학궤범(樂學軌範)』, 각종 『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에 수록된 궁중 정재의 종목을 일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측의 자료는 물론이고, 중국 측의 ‘대곡(大曲)’ 및 일본 측의 ‘부가쿠(舞樂)’ 등의 악무와 관련된 자료에서도 문헌 기록을 수집하고, 자료 유형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도록 기획되었다.


◌ 1차년도에는 한국 전통 무용의 원류 탐구를 위한 동아시아 원전자료 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한·중·일 삼국의 주요 문헌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중요자료를 번역하는 등의 문헌 연구를 실시하며, 2차적으로는 가변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무용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 방식을 취하였다.


◌ 한국 전통무용 중, 문헌 기록이 풍부한 ‘궁중 정재’를 중심으로 전거들을 탐구하고 추출하여 문헌 자료의 기초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면 ‘한국 전통무용’ 연구의 확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연구 범위의 외연적 확장뿐 아니라 연구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자료들을 제시해 줌으로써 무용학 연구에 활력을 줄 것이다.


◌ 2차년에는 1차년도의 성과물을 DB화하였다. 이것은 무용학 전공자뿐 아니라 관련 학계 및 일반인들까지도 한국 전통 무용이 동아시아 공동의 문화권 내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 변용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 2차년도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색인어와 검색어의 추출을 통한 시소러스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소러스분류는 DB를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한국 전통 무용의 56개 종목에 대한 한중일의 연관관계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또한 이렇게 하여 추출, 분류, 정리된 자료들은 철저한 피이드백 시스템의 활용으로 오류를 최소화해 무용학은 물론 관련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보다 질 높은 자료로서 활용 될 것이다.


 


Ⅱ. 연구내용


1. 연구 진행 과정


◌ 2009년 7월부터 2010년 4월까지 10개월 동안 본 연구팀은 앞서 언급한 연구 목적과 내용, 방법에 의거하여 연구를 진행해 왔다. 즉 1차년도 작업에 해당하는 한국 궁중 정재 56개 종목 관련 자료들을 한중일 1차 자료에서 수집, 분석, 정리, 추출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 이러한 연구 수행을 위해 본 연구팀은 개별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대한 줄이고자 일주일에 4일 이상 연구소에 상주하여 서로 토의과정을 거치면서 자료 검출 작업을 진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매주 1회 4시간에 걸친 전체 세미나를 통해 개인별 작업 결과에 대한 상호 검토 및 수정 작업을 진행하였고, 작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수시로 점검하며 전체 작업의 통일성을 기하였다.

[도표] 자문회의 및 토론회


차수

일 시

장 소

참가인원

토론 내용

1차

2009.8.25(화)

16:00-19:00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세미나실

10명

◦개요 작성의 원칙 및 방법 등에 대해 기존 연구계획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연구수요자의 입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개요 형식이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함

◦전체 DB 구성 방향 및 내용에 대해 항목별로 구체적인 예를 가지고 그 타당성을 논의함

2차

2009.29(화)

18:00-20:00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세미나실

10명

◦1차적으로 완성된 한국측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과 일본의 자료 검색 모델을 작성하여 그 타당성을 논의함

◦DB 항목 중 특히 ‘중분류, 소분류 관련 색인어’로 분류된 항목의 구체적인 색인어 추출 작업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논의함

◦한국, 중국, 일본의 유기적인 협력을 위한 자료 검토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논의함

3차

2009.10.27(화)

17:00-19:00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세미나실

10명

◦기존에 제기됐던 문제들을 재차 검토하고 보완하기 위한 부분을 논의함.

4차

2010.3.26(금)

17:00-20:00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

세미나실

10명

◦1차년도 작업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2차년도 작업 실시에 따른 업무 분장 및 작업 진행의 내용과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실시하고 중간보고서 작성을 위한 업무를 분장함.


 

III. 연구의 결과물

 

○ 한국 : 56개 궁중 정재 종목(대분류)별로 자료 DB화

 

◌ 자료수집 대상 종목의 확정과 이해: 런반탕(任半塘) 『교방기전정(敎坊記箋訂)』(1973)의 분석을 통해 중국 교방악과 한국 정재의 연관 종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56개 정재 종목 가운데 중국 교방악과 연관성이 뚜렷한 ‘고려시대에 유입된 당악정재 종목’ 5종(Aa-1, Aa-2, Aa-3, Aa-4, Aa-5)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를 추출하되, 같은 책 [부록2]에 정리된 ‘중국 교방곡과 고려 송악 연관 종목’ 7종(Ba-5, Ba-6, Ba-9, Ca-2, Cb-16, Cb-19, Cc-1)도 추가하여, 총 12종을 자료수집 핵심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예를 들어 중국의 교방곡 <자지인(柘枝引)>이 고려의 송악 <연화대(蓮花臺)>(Aa-5)와 연관된다는 [부록2]의 내용을 확인한 뒤, 『교방기전정』 본문에서 <자지인> 및 <자지>에 관한 해제를 분석하여 그 종목의 실체를 이해하고, 거기에 언급된 문헌들을 다시 찾아 집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중국문헌 원문자료 판별 및 집록: 중국의 ‘수도사범대학 전자문헌연구소’에서 구축한 DB ‘국학보전(國學寶典)’을 활용하여 상술한 12종목 관련 원문자료를 판별 및 집록하였다. ‘국학보전’은 당초 연구계획에서 제시했던 1단계 대상 자료인 ‘당송 대곡 관련 자료’ 추출을 위한 󰡔교방기(敎坊記)󰡕 등은 물론, 2단계 ‘정사(正史)의 악지(樂志) 및 시사(詩詞) 자료’와 3단계 ‘유서(類書) 및 개인 문집’ 자료 추출을 위해 본래 활용하려 했던 ‘이십오사(二十五史) 검색 시스템’ 및 ‘사고전서(四庫全書) CD-Rom’을 능가하는 데이터가 구축되었다.

 

◌ 자료수집 대상 종목의 확정과 이해: 메이지(明治) 시대에 편찬된 『고지루이엔(古事類苑)』을 기본 텍스트로 일본의 궁중악무 부가쿠와 한국의 궁중정재와의 관련성을 살핀 결과 밀접한 관련성이 드러난 것은 총 4종목(Ba-5, Bb-1, Ca-2, Cb-16)이었다. 이에, 본 연구팀은 위의 4종목에 관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정리하되 보다 폭넓은 자료 활용을 위하여 부가쿠 중, 고마가쿠(高麗樂) 38개 전 종목과 일본의 <하왕은> 및 <춘앵전> 등의 도가쿠(唐樂) 11개 종목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였다.

 

 

IV. 연구의 기대 효과

 

◌ 본 연구는 원전자료의 집성 및 DB를 구축함으로써 앞으로 무용학 분야에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그 기초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이는 앞으로 내실 있는 무용학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이며, 여타의 학문 분야에 의존해 왔던 무용학 연구를 무용학계가 자체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자생력을 갖추는 계기가 될 것이다.

 

◌ DB로 구축된 자료들은 무용학 뿐 아니라 다른 인접 분야의 연구에도 다양한 자료를 제시해 학제 간 통섭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밖에도 ‘한국 전통 무용 사전’ 제작 편찬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한국 전통 무용 연구에 기초 토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한·중·일 삼국의 지적, 문화적 교류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